시니어 1000만 명 시대입니다. 2024년 한국은 5명 중 1명이 시니어(65세 이상)인 나라가 됐습니다. 저출생과 기대수명 연장의 흐름 속에서 고령화 문제는 장기간에 걸쳐 우리의 경제·사회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의 삶과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요. 고령화로 인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도전과제는 무엇일까요. 트리플라잇은 지속가능 전문 벤처캐피털 에이치지 이니셔티브(이하 HGI, 대표 남보현)와 함께, 이러한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는 과정에서 ‘투자사를 위한 사회문제와 산업 분석 : 고령화’ 리포트를 공동 기획 및 발간하게 됐습니다. ▶리포트 읽으러 가기
지난해 말, 트리플라잇과 HGI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서는 정부 및 공공 섹터 외에도 더 많은 기업과 투자자가 사회문제 해결에 동참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기반으로, ‘투자사를 위한 사회문제와 산업 분석’ 프로젝트를 출범했습니다. HGI의 투자 및 시장에 대한 전문성과 트리플라잇의 이슈&임팩트 데이터 분석 인사이트를 결합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투자 전략 방향을 지속적으로 조망하기로 한 것입니다.
트리플라잇은 설립 초기부터 머신러닝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활용해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사회문제의 동향과 전망에 관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이슈 트래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투자사와 함께 포트폴리오사의 사회·환경적 가치를 높이는 전략과 지표 설정, 측정 및 커뮤니케이션 등 투자 과정 전반에 걸쳐 밀접한 지원을 이어왔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기업 및 투자 섹터의 역할과 영향력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HGI는 고령화·저출산 등 인구 구조 문제를 해결하는 스타트업을 적극적으로 발굴 및 투자해온 만큼, 고령화 이슈와 산업에 대한 이해도와 고민의 깊이가 남달랐습니다. 이번 리포트는 고령화 이슈 관련 미디어 분석부터 이슈 및 산업 분류 체계 수립, 벤처투자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한 산업 매력도 평가까지, 총 6개월에 걸친 공동 연구의 결과물입니다.
트리플라잇과 HGI는 고령화로 인해 파생되는 변화를 포착하고,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전략을 찾고자 했습니다. 이를 위해 28만7,312건에 달하는 미디어 빅데이터 분석, OECD 38개 지표 통계 데이터 분석, 벤처투자 전문가 대상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이슈-산업 측면의 분류체계를 수립하고, 이슈 중요도와 산업 매력도를 평가했습니다.
한국의 시니어들이 겪는 경제·사회적 문제를 세분화하고, 이슈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종합 분석한 결과,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고령화 문제는 ‘사회관계 축소 및 고립(3.94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습니다. ‘디지털 정보 격차(3.42점)’, ‘정신적 스트레스와 유병률 증가(3.36점)’, ‘이른 정년 퇴직과 조기 퇴직(3.07점)’, ‘불충분한 노후 준비(2.98점)’ 문제가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습니다.
고령 인구의 증가와 함께 실버산업의 규모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벤처투자사 11곳에 소속된 12명의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실버 산업의 매력도(미래 성장성, 경제적 파급효과, 정책 연계성, 벤처투자를 통한 문제해결 가능성)를 평가해봤습니다.
설문 결과, 전문가들은 ‘헬스케어’의 산업 매력도를 가장 높게 평가했습니다. 산업 매력도 1위로 꼽힌 ‘의료기기 제조 및 유통’ 영역은 특히 경제적 파급효과, 정책연계성, 벤처투자를 통한 문제 해결 가능성 측면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전문가들은 “실버세대의 건강과 삶의 질 증진, 신규 고용 창출 잠재력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정부 정책 연계성을 고려하되, 벤처투자를 통한 혁신적인 솔루션 개발 및 보급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사회문제 해결과 산업의 발전은 서로 영향을 미치며 상호 연결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특정 문제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들이 증가하면, 이러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솔루션이 개발됩니다. 또한 이와 관련된 제품 및 서비스의 규모화는 산업 구조의 변화로 이어집니다. 이에 트리플라잇과 HGI는 이슈-솔루션 매핑 방법론을 통해 고령화 문제와 연계되는 산업의 구조와 특징을 파악했습니다. 미디어 및 선행연구를 통해 세부 이슈별로 시니어의 니즈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는 다양한 솔루션 사례를 탐색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주목해야 하는 이슈-산업 연결고리를 도출했습니다.
특히 이번 리포트에서는 이슈 중요도와 산업 매력도를 기준으로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통합적으로 추정하는 ‘듀얼 밸류 매트릭스(Dual Value Matrix)’를 도출해, 우리 사회의 심각한 이슈와 연결되는 주요 실버 산업 영역을 심층 분석했습니다. 종합 분석 결과,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가 모두 높은 산업으로 ‘의료 및 건강 관리 서비스’, ‘의약품 제조 및 유통’, ‘의료기기 제조 및 유통’, ‘시설 및 재가요양 서비스’ 등 헬스케어 분야가 꼽혔습니다. 시니어의 건강과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분야로, 혁신 기술을 통한 비용효과성과 접근성 개선이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는 모습입니다.
이슈 중요도에 비해 산업 매력도가 높은 산업으로는 ‘금융·자산관리 서비스’와 ‘주거복합시설’이, 반대로 이슈 중요도는 크지만 상대적으로 산업 매력도가 낮은 영역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평생교육 및 자기계발 지원’, ‘취업 지원 서비스’가 확인됐습니다. 이슈 중요도와 산업 매력도 간의 미스매치가 발견되는 지점으로, 특히 후자의 경우 사회 문제의 심각성이 높아질수록 수요가 높아질 것이며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이 기대됩니다.
고령화로 인해 국가 및 미래세대 차원의 부담이 경제·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는 만큼, 스타트업·투자자·정부 등 모든 주체가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해결책을 도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더 많은 스타트업이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해 도전할 수 있도록, 실버산업과 관련된 정책적 지원과 함께 지속가능한 투자 생태계가 확장되길 기대해봅니다.